Hello GH

개인컴퓨터로 FTP서버 만들기! 본문

개발ETC/개발환경 구축하기

개인컴퓨터로 FTP서버 만들기!

회색인간 2016. 3. 19. 22:58

FTP서버 구축 실습!

GrayHuman's blog
1) FTP로 개인서버를 만드는 이유?
- 외부에서 집에있는 컴퓨터에 접속가능
- 설치가 쉬우며 NAS보다 세팅이 간편(보통 NAS는 리눅스계열의 운영체제를 사용합니다)
- 필자의 경우는 Hyper-V라는 가상화 툴을 이용하여 FTP서버와 컴퓨터를 논리적으로 분리한 상태..
(저는 
Oracle이나 Tomcat등을 돌리면서 FTP까지 올리려다보니..컴퓨터 하나더 사고싶네요 ㅠㅠ)
2) FileZilla 다운
- FTP서버, 클라이언트로는 현재 FileZilla가 많이 사용되는거 같습니다.
(아쉽게도 알FTP의 경우는 뭔가 기능이 부족해서..)
- https://filezilla-project.org/
- 링크로 들어가셔서 서버용을 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.
- 오픈소스이며 더 알고싶다면 나무위키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 
- https://namu.wiki/w/FileZilla
3) FileZilla 설정
- 설치는 그냥 default로 하시면 됩니다.
- 처음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나옵니다.

- 여기서 Server Address는 localhost 또는 127.0.0.1로 하시면 되고 포트는 기본설정 그대로 놔두시면 됩니다.

- 패스워드는 최초설정시에는 없기때문에 빈칸으로 놔두고 ok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
- 접속이후 환경설정을 위해 Edit를 눌러 Setting으로 들어갑니다.

- 보통 FTP는 기본포트가 21번이며 사용회선 또는 회사망에서 보안을위해 21포트를 막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.

- 하지만 저는 21번 포트를 그대로 두고 대신 Passive모드를 설정하겠습니다.

- 패시브모드는 특정포트로 접근하는 사용자만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.
- 개인사용자들이 사용할 때에는 패시브모드로 특정포트만 열고 방화벽설정 및 포트포워딩을 통해서 외부접근을 열어주면 됩니다.
3) 유저설정
- 유저설정을 하는 곳입니다.
- Edit 탭에서 User로 들어갑니다.

- General 탭에서 말풍선에 표시된 Add를 클릭하면 아이디를 생성가능합니다.


- 생성한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합니다.

- 패스워드 입력을 마친후 Shared folders를 클릭하거나 그냥 OK를 누릅니다.

- 공유폴더를 선택하는 부분입니다.

- Add버튼을 누르고 공유폴더를 추가하는데 여기서 H라고 적힌 표시가 홈디렉토리입니다.

- 해당계정으로 접속하는사람하는사람이 사용할수 있는 최상위 디렉토리(폴더)를 정하는거라고 보시면 됩니다.

- 선택한경로의 파일을 읽기, 쓰기, 삭제 등의 옵션을 줄수있습니다. (append는 저두몰라요 ㅠㅠ)

- 디렉토리(폴더)의 옵션은 그대로 두시면 됩니다. (생성이나 삭제옵션이 필요하시면 주셔도 됩니다^^)

- 여기서 ok를 누르면 FTP설정은 끝납니다!
4) 포트포워딩 및 방화벽 설정

- 방화벽 설정 시 예시로 든 2가지방법을 모두 실행해야 합니다.(1. 프로그램 등록, 2. 패시브모드 용 포트개방)


2016/03/20 - [IT 이야기/개발환경 구축하기] - 공유기 설정하기(포트포워딩, Wifi, 방화벽설정 포함)

여기까지 하셨으면 FTP서버 설정은 끝입니다. 수고하셨습니다^^

'개발ETC > 개발환경 구축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공유기 설정하기  (0) 2016.03.20
컴퓨터 원격 부팅방법(WOL 설정)  (0) 2016.03.18
Comments